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부업체 연체율 12.6%로 상승…담보대출 중심 급등
고금리에 평균 대출금리 14.0%로 올라
러시앤캐시 폐업에 대출규모 반년새 14%↓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지난해 하반기 대부업체의 연체율이 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형 대부업자의 연체율(원리금 연체 30일 이상)은 12.6%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6월 말 대비 1.7%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2021년 말 6.1%이던 대부업자 연체율은 2022년 말 7.3%로 오르더니 지난 한 해 동안에만 5.3%포인트 뛰었다.

대출 유형별로 연체율을 보면 담보대출이 17.0%로 6개월 전보다 3.7%포인트 상승한 반면, 신용대출은 0.7%포인트 내려 7.9%를 기록했다.

대부업체의 평균 대출금리는 지난해 6월 말 13.6%에서 지난해 말 14.0%로 0.4%포인트 상승했다. 고금리 지속에 따른 조달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14.3%로 0.2%포인트 올랐고, 담보대출은 13.8%로 0.6%포인트 상승했다.

[금융감독원 자료]

전체 대부업 대출잔액은 12조5146억원으로 6개월 전보다 2조775억원(14.2%) 감소했다. 지난해 10월 러시앤캐시(아프로파이낸셜대부)의 폐업이 영향을 미쳤다.

대부 이용자 수는 72만8000명으로 6개월 새 12만명(14.2%) 가량 줄어들었다. 8만9000명에 달하던 아프로파이낸셜대부 이용자 수가 빠지면서 전체 이용자 수도 감소했다.

대부 이용자 1인당 대출잔액은 1719만원으로 지난해 6월 말(1720만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해 말 현재 전체 등록 대부업자 수는 8597개로 6월 말보다 174곳 감소했다.

금감원은 우수 대부업자에 대한 유지·취소요건 정비 등을 통해 저신용층에 대한 신용공급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10월로 예정된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을 앞두고 업계 교육을 강화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대부업권 신용공급 축소에 따른 서민층 불법사금융 피해 방지를 위해 불법행위를 집중 점검하고 대부업자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