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스마트폰 앱 영상은 스마트TV로 시청하고 채팅은 다른 스마트폰으로 동시에 구현해주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와 미국 버팔로 대학교 스티브 고 교수 공동 연구팀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의 프로그램을 다수의 스마트 기기에서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단일 기기로 제한돼 있던 앱 사용자환경(UI)의 실행 환경을 다중 기기 환경에 맞게 확장해 단일 기기 가상화에 성공했다. 이 가상화 기술은 앱의 수정 없이도 UI 요소가 지닌 그래픽 자원을 다른 기기로 전달함으로써 다른 기기에서도 UI 요소들이 렌더링되도록 지원한다.
이 플랫폼을 사용하면 다양하고 새로운 사용자 경험(UX)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일례로 유튜브, 아프리카TV 등에서 유행하는 라이브 방송 스트리밍 앱을 이용하면 키보드 채팅창이 방송 화면을 가리게 된다. 연구팀의 플랫폼은 앱을 수정하지 않고 방송 화면과 키보드 채팅창을 각각 다른 기기로 분리해 띄움으로써 자유롭게 채팅을 하면서 방송 화면도 가리지 않고 시청할 수 있다.
운전 중 내비게이션 앱을 이용해 목적지를 입력할 때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택시 안에서 운전자가 운전 중 직접 목적지를 입력하는 행위는 사고의 원인이 된다. 이런 상황에서 내비게이션 앱의 목적지 입력창을 동승자의 기기로 옮길 수 있다면 쉽게 입력할 수 있다.
5G 멀티뷰 앱에도 적용할 수 있다. 5G 멀티뷰는 스포츠나 게임 등의 경기를 여러 각도로 시청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로, 연구팀의 플랫폼 기술이 확장 적용되면 사용자는 여러 각도의 영상을 각각 다른 기기에서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연구팀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프로토타입을 구현해 20여 개의 기존 앱에 새로운 UX를 성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확인했다.
신인식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이 갖는 높은 유연성과 범용성은 단일 기기 패러다임에서 다중 기기 패러다임으로 전환의 가속화에 이바지할 것”이라면서 “듀얼스크린폰, 폴더블폰 등 국내 기업의 차세대 제품에 적용 가능하며 시장 선점 효과를 통한 국제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모바일 컴퓨팅 분야 국제학술대회인 ‘ACM 모비콤 2019’에 논문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nbgkoo@heraldcorp.com
다른 휴대폰에 네비게이션 목적지 입력창을 분산시키면 더 편하게 목적지 경로를 검색할 수 있다.[KAIST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