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
[헤럴드경제=이명수 기자] 학교 비정규직 노사협상이 결렬됐다. 이에따라 전국 시·도교육청이 급식 운영을 비롯한 학사 전반에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의 총파업 첫날인 3일 도내 2천260개 학교(공립 병설 유치원 포함)에서 5천명이 넘는 교육공무직 직원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도 교육청은 이번 총파업에 대비해 도 교육청 파업대책반을 설치해 학생과 학부모 피해 및 교육 활동과 교육행정 지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각급 학교에도 학교장이 총괄하는 상황반과 대책처리반을 두고 파업에 따른 피해가 없도록 대응하도록 했다.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보이는 급식의 경우 학교 조리사 및 조리 실무사 등의 파업참여율이 50%가 넘어가면 학생이 도시락을 지참하거나 빵이나 떡, 우유, 외부 도시락 등을 학교가 제공하도록 했다.
경우에 따라선 단축 수업을 할 수도 있다.
일부 학교는 이미 학부모들에게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쟁의행위(파업)로 인한 학교급식 안내'라는 등의 가정통신문을 보내 급식이 빵이나 우유 등으로 대체될 예정임을 알려 양해를 구했다.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총파업에 따른 급식, 돌봄교실 등 학사운영에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부산시교육청은 이날 오후 파업 대비 2차 회의를 열고 학교별 상황에 맞춰 세밀하게 대응해달라고 각급 학교에 지시했다.
급식과 돌봄교실 운영, 특수학교 운영 등 학생 불편이 예상되는 분야도 다시 한번 점검했다.
특히 저소득층 학생에 대해선 별도 배려방안을 마련해 결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당부했다.
광주시교육청은 총파업 첫날 132개 학교가 급식을 중단할 것으로 보고 도시락을 준비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간편식을 준비해 결식을 막을 계획이다.
그러나 공립 특수학교인 광주 선광 학교의 경우 급식제공이 어려운 실정이어서 장애 학생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학생 300여명 중 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75명가량은 시설 측에서 도시락을 싸줘야 한다.
이번 파업 기간과 시험 기간이 겹치는 일부 지역의 중·고교의 경우 오전 수업만 한 뒤 급식을 하지 않고 하교하도록 안내하기도 했다.
시·도교육청들은 급식 외 불편이 예상되는 초등 돌봄교실에 대해선 가급적 담임 교사 등 대체 인력을 투입해 운영이 중단되는 일이 없도록 학교에 요청하고 있으나, 대체 인력 확보가 여의치 않은 일부 학교에선 파업기간 중 돌봄교실이 운영되지 않을 전망이다.
부산시교육청 관계자는 "파업 기간 교직원 업무를 재분장해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며 "특수아동 지원, 방과 후 돌봄교실 운영 등은 특수교사와 교직원 등을 최대한 활용해 차질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husn7@heral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