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의 대부’ 김근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지난달 30일 오전 5시31분 타계했다. 향년 64세. 김 고문은 수년째 파킨슨병을 앓아온 데 이어 뇌정맥혈전증, 폐렴, 신장염 등 2차 합병증이 겹치면서 패혈증으로 한 달 만에 숨을 거뒀다.
젊은 시절 수배생활과 투옥을 반복한 김 고문은 민주화와 정치개혁에 앞장서며 정치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하지만 자기희생적 삶에도 불구하고 그는 영원한 비주류였다.
1965년 대학 입학 후부터 반독재 민주화운동에 투신한 그는 1967년 서울대 상대 학생회장 때 총·대선 부정선거 항의집회를 하다 제적당해 군대에 강제징집됐다. 1970년 복학했지만 이듬해 ‘서울대생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돼 지명수배됐다. 이때부터 1979년 10·26 사태 때까지 도피생활을 하면서 ‘공소의 김근태’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김 고문은 1983년 첫 공개적 민주화운동 조직인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을 결성, 1985년 투옥될 때까지 두 차례 의장을 맡았다. 군사정권 시절인 1985년 남영동 대공분실에 끌려가 ‘고문기술자’ 이근안 경감 등에게 10차례의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받는 등 “스스로 죽고 싶었다”고 회고할 정도로 혹독한 고초를 겪었다. 김 고문은 1989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활동을 하다 1992년까지 영어의 몸이 돼야 했다.
제도권 정치로 눈을 돌린 김 고문은 1994년 민주자유당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을 결집하는 민주연합정당을 만들기 위해 출범한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의 공동대표를 맡는다. 이듬해에는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로 김대중 전 대통령과 손잡고 본격적인 정당생활을 시작한다. 15대 총선(1995년)에서 서울 도봉갑에서 당선된 그는 2004년 17대까지 내리 3선 배지를 달았다. 그러나 동계동계 등 구여권에 밀려 비주류에 머물수밖에 없었다. 2002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때는 불법 정치자금에 대해 양심고백을 하고 중도에 경선 중단을 선언했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재야 및 486운동권 출신 의원들을 중심으로 ‘GT계’라는 세력을 형성하고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입각 경험까지 쌓으며 정동영 의원과 차기 대권주자 경합을 벌였다.
정치인생의 전기를 맞는 듯했지만 그는 2007년 열린우리당 후신인 대통합민주신당의 대선 경선 때 또다시 기득권을 버렸다. 범여권 대통합과 오픈 프라이머리(국민경선) 실현이라는 대의를 위해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낙선의 쓴맛을 봐야 했다.
김 고문은 건강이 급속도록 악화하는 가운데서도 진보정당과 시민사회 등 모든 세력이 참여하는 ‘반(反)보수 대연합’에 헌신해왔다.
민주통합당은 “김 고문은 민주화의 산증인이었다. 그 자체로 민주화의 역사였다”며 추모했다.
유족은 로버트 케네디 인권상을 공동수상한 부인 인재근 씨와 1남1녀(병준ㆍ병민씨).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 발인은 3일 오전.
양대근 기자 bigroot@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