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모(44)씨는 최근 한 지역 복지단체로부터 ‘감사 편지’를 받았다. 기부를 해줘서 감사하다는 내용이었다. 김씨는 어리둥절했다. 기부를 한 사실이 없었기 때문이다. 사연은 이렇다. 최근 승진을 한 김씨를 축하하기 위해 평소 알고 지내던 A기업 B상무가 김씨의 이름으로 단체에 10만원을 기부한 것. 금방 시들어버리는 화환 대신 의미있는 선물을 하고자 했던 B상무의 고민이 깃든 선물이었다. 김씨는 “내가 직접 선행을 한 것처럼 기분이 좋다”며 뜻밖의 ‘기부선물’에 기뻐했다.
생일ㆍ졸업ㆍ승진 등 지인에게 기쁜 일이 있을 때 ‘기부 선물’을 하는 이른바 ‘신(新) 기부족’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자신의 이름으로 기부를 하는 것도 쉽지 않은 현실에서 이들의 선행은 받는 사람의 마음도 매우 기쁘게 한다.<관련기사 5월25일자 헤럴드경제 사회면>
‘신(新) 기부족’ 취재를 위해 B상무에게 연락을 취했다. 기부로 축하 인사를 전하는 선행을 많은 이들에게 알리면 좋겠다는 생각에서였다. 알고보니 기부 선물은 B상무 개인만의 선행이 아니었다. 그가 재직하고 있는 A기업은 지난해 1월부터 축하 인사를 기부로 대신해오고 있었다. 직원들이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의미있는 선물을 찾자’며 아이디어를 제시한 것. 헌데 해당 기업은 한사코 인터뷰를 거절했다. “제발 알리지 말아달라”며 기자에게 몇번이고 부탁을 했다. 의외의 반응이었다. A기업이 기부를 하는 C복지단체에도 연락을 취했다. 반응은 마찬가지였다.
이유를 물었다. 돌아온 대답은 놀라웠다. A기업이 기부선물을 한다는 소식이 알음 알음 알려지자 다른 기부ㆍ모금단체에서 ‘우리 단체에도 기부를 해달라’는 요구가 쇄도했던 것. C복지단체 관계자는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업 자체가 중단될 뻔한 위기가 있었다. 일부 단체는 ‘왜 특정 단체에만 기부를 하느냐’며 항의 아닌 항의를 하기도 했다”라고 전했다. A기업 관계자도 “알리고 싶은 마음이 왜 없겠나. 하지만 회사 차원에서 좋은 뜻을 갖고 진행하는 사업인데 부작용이 생길까 걱정이 돼 홍보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오른 손이 하는 일을 왼손에게 알리지 않는 겸손함이 기부의 덕목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해 좋은 일을 하고도 죄를 지은 냥 숨겨야 하는 건 옳지 못하다. 일부 기부단체의 볼썽 사나운 투정이 ‘기부선물’을 건네는 사람들의 선행 의지를 되레 꺾진 않을지 우려가 앞선다.
<박수진 기자@ssujin84>
sjp10@heraldcorp.com